Framer로 포트폴리오 만들기 - 01

Dec 11, 2022

Blog는 여러 과정을 거쳐 드디어 Beta로 올려두었다. 여러 컨텐츠를 쌓아가며 디벨롭하려 한다. 드디어 다음 목표로 잡았던 Framer로 Portfolio Web site 만들기를 시작하였다. 아직까지 PDF Portfoilo가 일반적이지만, Web으로 만들려는데에는 여러 이유가 있었다.


Portfolio를 Web으로 만들려는 이유

주로 Designer라 함은 취업 및 이직을 위해 수많은 Portfolio File을 PDF로 만들어낸다. 자잘한 수정사항들이 있을 때마다 PDF로 뽑아야하고, 파일 용량을 가볍게 하기 위해 compress 과정까지 거쳐야 한다. 오탈자 1개를 고치기 위해 약 15분의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물론, 이 마저도 지원 이후 파악하게 되면 계속 찜찜한 마음으로 면접에 해당 포트폴리오를 들고 들어가야한다는 점이 몹시 싫었다.

Web으로 Portfoilo를 만들면, 변경 사항을 바로 모두에게 업데이트 시킬 수 있다는게 너무 간편하고 편리할거라고 생각했다. 실제로 이와 같은 이유로 Notion, Behance 등을 통해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디자이너가 많다.


그렇다면 왜 하필 Framer로 만들려 하는 것인지?

Behance는 너무나 오픈된 사이트라는 인상을 받았다. 누구나 접근 가능하고 누구나 읽을 수 있다. 접근성이 좋다는 점은 장점이라고만 생각했는데, 한번 크게 포트폴리오를 도용당한 적이 있어서 이후로는 공개 자체가 꺼려지게 되었다. Behance도 프로젝트를 비공개를 할 수 있지만, 아예 노출이 안되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에게만 프로젝트를 오픈할 수 없다는 점이 아쉬웠다.

Notion은 다양한 외부 서비스로 직접 도메인을 만들 수도, 다양한 api를 연결해 댓글, 방문자 수 등을 볼 수 있는 여러 기능을 덧붙일 수 있다. 다채롭게 활용 가능한 점은 좋았으나 결론적으로 Notion 자체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점, Contents 영역이 한정적인 점, 결국은 이미지로 업데이트를 해야한다는 점들이 수정이 쉽지는 않겠다고 판단하였다.

여러모로 learning curve가 확실하긴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더 효율적이고 편리하다는 생각에 Framer로 작업하기로 결정하였다.



Framer로 Password 설정하기

정말 무엇보다 중요했다. Framer에서 이게 되지 않는다면 Framer에 portfolio를 만들 이유 자체가 없어진다. Blog와 유기적으로 오고갈 수 있어야하지만, Portfoilo를 볼 수 있는 사람은 내가 직접 관리할 수 있어야했다.

Site Settings > General에 들어가면 [Password Protection] 이 존재한다. 해당 기능부터는 유료 결제 후 사용 가능한데, 문제는 이게 페이지 단위가 아니라 도메인 단위의 Password 라는 것이다.


도메인 단위의 Password가 무슨 문제를 일으키는지 이해하기 위해선, 아래 Framer와 Figma와의 차이를 이해해야한다. Framer는 도메인 안에 Frame, Asset이 들어가있는 형태라 도메인을 나눈다는건 아예 Asset부터 두 벌로 관리해야한다는 의미인 것이다. 물론 Figma처럼 Design System File을 만들어 Component를 여기저기 도메인에서 쓸 수 있는지는 더 리서치를 해봐야할것 같다.


아니나 다를까 이로 인해 불편함을 느끼는 사용자는 꽤 많았다. 무려 득표수가 78표였다. 다들 포트폴리오의 일부 프로젝트를 막고 싶어하는 동일한 고민이 있는 것 같은데, Framer의 Canny를 확인해보니 당분간은 작업할 예정이 없는 듯 하였다.


결론…

현재까지 내가 생각할 수 있는 최선으로 Framer에 파일을 Blog, Portfolio 2개로 나누어 두었다. Blog만 오픈을 해두었으며 차차 Portfolio까지 작업이 완료되면 Blog의 Header에 Portfolio로 이동할 수 있는 페이지를 넣어두려한다.

E mail : dontiho9083@naver.com

Last Updated : 22.12.11

E mail : dontiho9083@naver.com

Last Updated : 22.12.11